조선시대 표류 기록 시각화
안녕하세요.
이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는 많은 사람들이 조선시대 표류 기록 시각화 구축 프로젝트의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. 이 콘텐츠가 더욱 가치있게 활용될 수 있도록, 사이트를 이용하시거나 조선시대 표류 기록에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의견을 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
표류 기록 데이터.
조선시대 표류 기록 데이터는 크게 사건(Event), 공간(Place), 인물(Person), 문헌(Reference) 데이터로 구성됩니다. 이 콘텐츠는 사건과 공간 데이터를 활용하여, 전자지도에서 표류 경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. 표류 사건별 상세 데이터는 위키에서 확인이 가능하며, 표류 경로 데이터는 KML(Keyhole Markup Language)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완전하게 입력되지 않은 데이터*가 발견되어 현재 데이터를 계속 보완해나가고 있는 중입니다.
*완전하게 입력되지 않은 데이터: 표류 사건 목록의 표류경로에서 Linkeventbplace라는 텍스트로 등장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. 이는 하나의 표류 사건을 출해/표류/표착/경유/송환/귀환 등으로 분류하는 과정에서 관련된 장소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하여 생긴 결과입니다. 이 경우 지도에 표시할 좌표값이 없기 때문에 임의의 좌표 값(35,125)을 입력해둔 상태입니다. 따라서 Linkeventbplace가 등장하는 사건은 경로가 어색하게 표현되고 있으며, 현재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보완 중에 있습니다.
콘텐츠를 즐기기 위한 도움말.

- 1상자를 선택하면 해당 표류 사건의 경로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경로의 색은 랜덤으로 표시됩니다. 지도에서 경로가 잘 보이지 않으면 원하는 색으로 표시될 때까지 이 상자를 다시 선택해주세요. 사건은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2사건 이름을 선택하면 사건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상자가 표시됩니다.
- 3지명을 선택하면 지도에 위치가 표시됩니다. 선택한 지명이 다른 표류 사건에도 등장할 경우 같은 색으로 표시됩니다. 마커의 색은 랜덤으로 표시됩니다. 지도에서 마커가 잘 보이지 않으면 원하는 색으로 표시될 때까지 지명을 다시 선택해주세요. 지명은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4W를 선택하면 표류 사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위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 K를 선택하면 표류 사건의 경로 정보가 기술된 KML 문서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5표류 사건에 등장한 지명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. 목록에서 검색한 지명이 등장한 표류사건만 표시됩니다.

- 6지도에서 원형으로 표시된 마커를 선택하면 해당 장소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창이 열립니다. 관련사건의 +를 선택하면 해당 장소가 등장한 표류 사건 목록이 보여집니다. 표류 사건을 선택하면 위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 만약 정보창이 보이지 않으면 페이지를 새로고침해주세요.
- 7표류 경로가 표시된 지도에서 마커에 마우스를 올리면 장소가 사건의 어떤 유형에 해당되는지 표시됩니다.
- 8위성지도와 일반지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*크롬 사용을 권장합니다.
예고.
대표적인 출해지(제주도)와 표착지(대마도)의 파노라마 영상. 시맨틱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는 곳.